반응형 사회복지역사4 독일, 미국의 사회복지역사 [2012년 어대훈 사회복지학개론에서 발췌하였습니다.] ㅁ 독일의 사회복지역사 함부르크 구빈제도(1788)1788년 독일의 함부르크에서 최초의 구빈사업조직이 생겨났는데, 이를 ‘함부르크 구빈제도’라고 합니다. 이 제도는 교회의 무질서한 자선활동을 통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무직자, 구직자 및 걸인의 해소와 부랑자의 감소 등을 위해 중앙국을 설치하고 시를 각구로 분할하여 감독관으로 하여금 자조의 도움을 주고자 했습니다. 초기에는 문전구걸 금지, 빈민직업학교 설립, 병원건립, 요보호자 구제, 갱생을 위한 통합적 제도설립 등의 효과를 보았으나 인구의 집중과 요보호자의 증대에 따른 상담원과 재원의 부족 등 활동부진 때문에 결국 실패하게 되었습니다. 엘버펠트 제도(1852)함부르크 구빈제도의 미비점을.. 2017. 8. 10.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삼국시대~일제강점기) [2012년 어대훈 Human사회복지학개론에서 발췌하였습니다.]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사회복지는 서양에서 시작됐고 우리나라에 전파되었을 것 같은 느낌이 왠지 모르게 강하게 들지 않으십니까?앞서 포스팅한 영국의 경우도 그랬지만, 어느 나라든 어느 시대든 간에 빈부의 격차는 존재하였습니다. 당연히 이를 보완하기 위한 사회복지정책 역시 존재하였습니다. 물론 명칭은 국가마다 다를 수 있으나, 고대 한국에도 분명 사회복지는 존재하였습니다.이번에는 한국의 사회복지역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ㅁ 삼국시대삼국시대는 한반도가 신라,고구려,백제로 나누어 통치되던 시기를 말합니다.삼국시대에는 흉년, 천재지변, 전쟁, 전염병 등에 의해 대량으로 요구호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 경우 국왕은 관곡진급(국가가 비축하.. 2017. 8. 6. 엘리자베스구빈법 이후의 영국 사회복지역사(2) [2012 어대훈의 Human 사회복지학개론을 참고하였습니다.] ㅁ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COS)영국은 18세기 산업혁명으로 인해 산업화·도시화로 많은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었습니다. 자연히 도시빈민들이 늘어났고 이를 해결하고자 1800년대 초부터 많은 수의 민간 자선단체가 조직되어 구빈활동을 벌였습니다. 하지만 여러 민간단체 각각의 자선활동으로는 도시빈민들의 가난과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없었습니다. 민간 자선사업기관들의 활동이 비계획적이고 무차별적이며, 비조직적이고 비전문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여러 문제점이 노출되었습니다.(ex. 같은 대상자에 여러 기관에서의 중복 수혜 등)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이고 조직적이며 전문적인 자선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연합체.. 2017. 8. 4. 엘리자베스구빈법 이후의 영국 사회복지역사(1) [이 포스트는 2012년 어대훈 Human사회복지학개론에서 발췌했음을 알립니다] 이전 포스트에서는 엘리자베스구빈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엘리자베스구빈법은 빈민을 통제하고 치안을 유지하기 위한 법이었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 다루는 제도들은 엘리자베스구빈법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강화하여 더 효율적으로 빈민을 통제하고 구제하며 치안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생겨난 제도들입니다.엘리자베스구빈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같은 맥락에서 공부한다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ㅁ 정주법(1662)이전의 엘리자베스구빈법이 빈곤문제 해결과 치안유지, 빈민을 통제하기 위한 제도였음을 확인하였습니다.이때 빈민을 통제하는 단위를 '교구'로 묶었고, 교구 단위로 빈민세를 징수하였기 때문에 자기 교구안에 빈민을 늘리지 .. 2017. 8. 2. 이전 1 다음 반응형